12월 21일 오후 2시 취득세 중과 완화 발표가 있었습니다. 2 주택 보유자의 취득세중과는 폐지되고 3 주택 이상의 보유자들은 현행 대비 50% 인하하기로 했습니다. 그리고 내년 5월 9일까지는 유예 중인 양도세 중과 배제도 1년 연장하며 다주택자 주담대 LTV 30%까지 혀용과 분양권 1년 이상 보유 시 양도세 면제 등 각종 규제를 대거 풀 거라고 했습니다.
#1 내년 부동산 경기는 살아날 수 있을까??
전문가 5명에게 2023년 부동산 전망에 대해 물었습니다. 그 결과 모두 하락할거라고 답을 하였고 주택 매매시기는 내년 하반기를 꼽았습니다.
의견 1
향후 집값 수준 : 5% 이상 하락
주요근거
- 수요위축, 주택거래 부진으로 부동산 경기 약세 지속
- 경제성장률 경기 침체 진입 판단
의견 2
향후 집값 수준 : 서울은 3%~5% 하락과 강남,용산,잠실은 5%~10%하락
주요근거
- 1986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5~7년 오르면 4~6년 정도 하락해 옴.
-금리인상에 따른 집값 하락 본격화로 쇼크는 1년 이상 갈것임
-집값 버블붕괴
내년 부동산시장 핵심변수
- 미국 금리 인상 기조 변화
매매시기
- 2023년 하반기 이후 신규분양, 급매, 경매 위주
의견 3
향후 집값 수준 : 서울, 수도권 모두 1~3% 하락 전망
- 세종, 대구 등 집값 하락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지방 일부지역은 하락폭이 다소 둔화될 가능성 있음
주요근거
- 기준 금리 인상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
- 경기 침체 우려로 매수세가 좀처럼 회복되기 어려운 상황
내년 부동산시장 핵심변수
- 금리인상 기조 변화와 정부의 규제 완화 속도와 규모
- 2023년 5월 양도세 한시적 중과 유예과 종료되는 시점에서 다주택자의 매물 출하량
의견 4
향후 집값 수준 : 서울 10%~20% 이상 하락, 수도권 20%~30% 하락
주요근거
- 부동산 지표 모두 하락 신호 : 거래량 감소, 미분양증가, 전셋값 하락
- 주택 가격 임계점 초과
- 가계 부채 심각 > 수요자 심리 위축
- 미국 금리 인상 상반기까지 지속
- 국고채 장단기 금리차 지속 > 일정 기간 후 경제 침체
내년 부동산시장 핵심변수
- 하락기 입주 물량 과다
- 미국 금리인상 기조 변화
- PF발 우발 채무 가시화
- 정부 규제 완화 정책
의견 5
향후 집값 수준 : 서울 및 수도권 5% 하락
주요근거
- 물가 상승 정점은 지나가더라도 정부 목표인 2% 안팎의 안정이 쉽지는 않을 것
- 기준 금리 인하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딜 전망
- 경제 성장률 전망이 1%대를 기록하는 등 경기둔화 우려
- 매수세 회복 기대 어려움
내년 부동산시장 핵심변수
- 물가와 금리 상승 기조 변화
- 경제성장률
- 전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속도 등